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신명기(申命記)의 놀라운 비밀 !

by Ahuviאב 2023. 7. 24.

 

기독교 바이블 그리스어 신명기 "Δευτερονόμιον(데우떼로노미온)"은 그리스어 Δευ(제우제우스의 호격) + τερονόμιον(떼로노미온신성한 율법)의 합성어로 "제우스의 신성한 율법"이라는 뜻이 된다. 영어로는 Deuteronomy한글로는 신명기(申命記)로 번역된다.

모세오경의 5번째 권, 고유한 이름 "데바림(דְּבָרִ֣ים 말씀들)"의 개요

"말씀들(드바림 דְּבָרִ֣ים)"은 이스라엘 백성이 약속의 땅에 들어가기 전에 모세가 율법과 계명을 반복하고 다시 진술한 것을 가리킨다. 그것은 엘로힘 야훼와 이스라엘 백성 사이의 "언약(בְּרִית 자르다, 끊다, 새기다)"을 상기시키는 역할을 하며 그들의 행실과 예배에 대한 지침을 제공한다.

모세오경 토라(תּוֹרָה)  고유한 책 이름 제 5권 이름의 뜻
계명, 법, 율법, 규례, 말씀 דְּבָרִים(Devarim) 데바림, 드바림 엘로힘 야훼의 "말씀들(명령)"

드바림("דְּבָרִ֣ים") 6:1 이스라엘은 들으십시오. 우리 엘로힘 야훼는 오직 단 한 분밖에 없는 야훼이십니다.(שְׁמַ֖ע יִשְׂרָאֵ֑ל יְהוָ֥ה אֱלֹהֵ֖ינוּ יְהוָ֥ה ׀ אֶחָֽד). 6:6 내가 오늘 당신들에게 명령하는 이"말씀들(드바림 דְּבָרִ֣ים)"을 마음에 새기고, 언제나 잊지 말고 여러분의 자녀들에게 부지런히 가르치십시오. 집에 있을 때나 길을 갈 때나 잠자리에 들 때나 아침에 일어날 때나 이것에 대하여 항상 이야기하십시오. 또 여러분은 그것을 손에 매어 달고 이마에 붙여 항상 생각해야 합니다. 그리고 여러분의 집 문기둥과 문에 그 말씀을 기록하십시오.'

 

히브리어 원문 타나크 모세오경의 데바림("דְּבָרִ֣ים")은 남성 명사 다바르("דָבָר")의 복수형으로 창조주 야훼 엘로힘의 "말씀들(דְּבָרִים Devarim: 명령들)"이라는 뜻이다. "דְּבָרִ֣ים"(데바림), 언어(창세기 11:1, 시편 19:3, 잠언 29:20), 말씀(창세기 15:1, 민수기 11:24), 명령(창세기 44:2, 사무엘상 15:11,13) 등을 의미하며 이스라엘 백성이 약속의 땅 가나안에 들어가기 전에 모세가 그들에게 들려준 연설, 설교 또는 담론의 모음을 가리킨다.

 

이 책의 이름인 데바림("דְּבָרִ֣ים")은 "율법의 반복"을 의미하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와 같은 이전 책에서 발견된 율법과 가르침을 다시 말하는 것을 강조하는 야훼 엘로힘의  "말씀들(명령들)"을 의미하는 <고유한 이름>을  모세오경 '토라(תּוֹרָה)'의 5번째 책 이름을 "דְּבָרִ֣ים"(데바림 또는 드바림)이라고 한다.

 

이것을 헬레니즘헤브라이즘 복음신앙을 혼합한 종교인 기독교가 공중의 권세자 천신(천주) 귀신의 왕 바알(바알세불) 제우스 "신성한 말씀들 또는 신성한 율법들"이라는 뜻의 그리스어 "데우떼로노미온(Δευτερονόμιον)" 한글 번역 "신명기(申命記)"라는 이름으로 번역하고 각색하였다.

제우스의 "신성한 율법들"(Δευτερονόμιον 데우떼로노미온)

Swete의 칠십인역  Δευτερονόμιον (데우떼로노미온) 6:4 Ἄκουε, Ἰσραήλ· Κύριος ὁ θεὸς ἡμῶν Κύριος εἷς ἐστιν· 6:6 καὶ ἔσται τὰ "ῥήματα ταῦτα", ὅσα ἐγὼ ἐντέλλομαί σοι σήμερον, ἐν τῇ καρδίᾳ σου καὶ ἐν τῇ ψυχῇ σου·

기독교 그리스어 역본 기독교 라틴어 역본 중국, 일본, 한국어 역본
Δευτερονόμιον
데우테로노미온
Deuteronomium
데우테로노미움
申命記(shēnmìngjì)
しんめいき
(shinmei-ki)
할글역: 신명기
: 제우스의 말씀, 명령 : 제우스의 말씀, 명령 : 천둥 번개신 제우스의 명령

기독교 바이블 그리스어 신명기 "Δευτερονόμιον(데우떼로노미온)"은 그리스어 Δευ(제우: 제우스의 호격) + τερονόμιον(떼로노미온: 신성한 율법)의 합성어로 "제우스의 신성한 율법"이라는 뜻이 된다. 영어로는 Deuteronomy, 한글로는 신명기(申命記)번역된다.

 

그리스어 용어 "τερονόμιον(떼로노미온)"은 "징조" 또는 "놀라운"을 의미하는 "τέρας"(teras 떼라스)와 ""을 의미하는 "νόμος"(nomos 노모스)의 두 그리스어 단어의 조합에서 파생되었다. 그러므로 "τερονόμιον"은 "신성한 율법", "율법의 반복" 또는 "율법의 두 번째 수여"라는 뜻이 된다.


"τέρας"(teras 떼라스): 신성한 표시, 기호, 경이로움, 징후, 놀라운 일, 불가사의, 조짐, 전조, 징조, 괴수, 괴물(몬스터)

"νόμος"(nomos 노모스): 관례, 법, 법률, 조례, 관습, 풍습이라는 뜻이다.

 

신명기(申命記)의 "申(납 신)"은 하늘에서 천둥 번개가 치는 모습을 나타내는 "申(납 신)"과 기상현상을 나타내는 "雨(비 우)"가 합쳐져 만들어진 글자가 "電"번개 이다. "申(납 신)"은 ‘’의 본래 글자다. 갑골문, 금문의 자는 하늘의 번개가 발산한 구불구불한 빛을 나타낸다. 납 신, 펼 신, 거듭 신 , 아홉째 지지 신 원숭이의 옛말로, 현대에도 잔나비라는 낱말에 흔적으로 남아 있다. 또한 神(신령 신)의 본 자(本字)이기도 하다.

 Ζεύς (제우스)의 호격 단수 "Δευ(Deu 데우)" 

그리스어 단어 "Δευτερονόμιον(데우떼로노미온)" 신명기의 "Δευ"(Deu 데우) 또는 "Ζευ"(Zeu 제우)는  귀신의 왕 바알세불 Ζεύς (제우스)의 '호격 단수'다.   ※ 제우스 신의 별칭: πατήρ(파테르), Ἄμμων (아문), 바알(바알세불) 등이 있다. 

주격(nominative case) Ζεύς(제우스),  Δίας(디아스)
속격(Genitive case) Διός(디오스),
여격(dative case) Διί(디이),
대격(accusative case) Δία(디아),
호격(vocative case) Ζεῦ(제우),  Δευ(Deu 데우)

호격(呼格, 영어: vocative case, 약어 voc)은 격의 하나로, 호명되는 대상을 나타낸다. 한국어 문장 “철수야, 어디 가니?”와 “무기여 잘 있거라.”에서 ‘’와 ‘’가 호격을 나타내는 요소이다.

 


세계의 주요 언어 가운데 호격이 나타나는 언어로는 한국어, 조지아어, 폴란드어, 리투아니아어 따위가 있다. 인도유럽조어에도 호격이 있었으며 이는 산스크리트어, 고대 그리스어, 라틴어 등의 후손 언어로도 이어졌다. 많은 현대 인도유럽어족 언어에서는 호격이 사라졌지만 발트어파, 켈트어파 일부, 슬라브어파 대부분에는 호격이 남아 있다.

 

그러므로 엘로힘 야훼의 "말씀들(명령)"이라는 고유한 경전 "דְּבָרִים(Devarim) 데바림, 드바림"을  귀신의 왕 바알세불 공중의 권세 잡은 자 "천신(천주)" 제우스신"말씀들(명령)"을 뜻하는 신명기 "Δευτερονόμιον(데우떼로노미온)" 헬레니즘과 헤브라이즘 신앙을 혼합하고 변개한 기독교 신앙에 대하여 성경은 이렇게 경고하고 있다.

 

레위복음 7:15,18-20; "거짓 대언자들을 조심하라. 그들이 양의 옷을 입고 너희에게 나아오나 속으로는 약탈하는 이리니라...... 좋은 나무가 악한 열매를 맺지 못하고 변질된 나무가 좋은 열매를 맺지 못하느니라. 좋은 열매를 맺지 아니하는 나무마다 찍혀 불 속에 던져지느니라. 이러므로 너희가 그들의 열매로 그들을 알지니라."

 

레위복음 24:24, 25; "거짓 그리스도들과 거짓 대언자들이 일어나 큰 표적과 이적을 보여 할 수만 있으면 택하신 자들까지도 속일 것이라. 보라, 내가 너희에게 미리 말하였노라." 고린도후서 11:14; "이것은 결코 놀랄 일이 아니니, 사탄도 자기를 빛의 천사로 가장하느니라."

제우스(Ζεύς)의  고대 그리스어 대체 양식 

Δάν ( 단 ) - Aeolic은  Ζεύς (제우스)의 다른 형태 아이올리스(고대 그리스어: Αιολίς, Aeolis) 또는 아이올리아(그리스어: Αιολία) 방언이다. 소아시아의 서부와 북서부의 해안 지역과 약간의 섬(특히 레스보스 섬)으로 구성되는 지역이다. 

 

Θιός ( Thiós ), Σιός ( Siós ) – Ζεύς 의 보이오티아식 (보이오티아인), 이오니아 방언

Δεύς ( Deús )– 보이오티아인의 방언 "Ζεύς"(Zeús)에 해당하는 단어다. 마케도니아 지역에서는 "Δίας"(Dias)로 발음된다. 표준 고대 그리스어에서 "Zeús"는 가장 높은 신인 신들의 왕, 천계의 주인으로 보이오티아 방언에서는 "Zeús"를 "Deús"라는 발음으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Θιός(티오스)"는 보이티아 방언에서 "제우스"를 의미하는 말이며, "Θεός(테오스)"는 이오니아 방언에서는 "제우스"라고 불렀다. 이것이 70인역(LXX)의 Θεός(테오스), 불가타역(vulgō)의 Deus(데우스)다. 이러한 방언 차이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발생한 것이며, 이것이 현대 그리스어에서는 "Θεός", "Deus"가 "신"을 의미하는 표준어로 사용된 것이다.

엘로힘(אֱלֹהִ֜ים) VS 테오스(Θεός)

 

Ζάς ( Zás ) – 라코니언,  Ζάν ( Zán ) Ζάς ( Zás ) – 도리스,  Ζήν ( Zḗn ) – 시적, Τάν ( Tán ) – 크레타 섬

고유 명사 "Zin"은 실제로 그리스 신 Zeus(제우스)의 시적 형태다. 시적 맥락에서 Zeus(제우스)의 대안 또는 변형(variation) 이름으로 사용된다. "Ζήν(Zḗn )"이라는 이름은 그리스어의 세 번째 어형 변화를 따르며 소유격 형태는 "Ζηνός(Zenos)"다. Ζεύς (제우스)의 속격 단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