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달신 알라의 상징인 투르크메니스탄 타타르인의 민족 기와 투르크메니스탄의 '국장과 국기'에 있는 '초승달' 이다. 종교는 이슬람교 93%, 기독교 6.4%, 기타 종교 0.6%
기독교 하나님 "Hudaý(후다이: 달신 알라의 호칭)
기독교 바이블 투르크메니스탄어 창세기 1:1 Başda "Hudaý(후다이: 달신 알라의 호칭)" gögi we ýeri ýaratdy.영어 직역: In the beginning, Allah, the moon god of Huday, created the heavens and the earth. 한글 직역: 태초에 후다이 달신 알라가 천지를 창조 하시니라.
투르크멘어 | 타지크어 | 키르기스어 | 카자흐어 |
Hudaý(후다이) 달신 알라의 호칭 |
Худо(쿠다) 달신 알라의 호칭 |
Кудай(쿠다이) 달신 알라의 호칭 |
Құдай(쿠다이) 달신 알라의 호칭 |
타지키스탄어 Дар ибтидо "Худо(쿠다: 달신 알라의 호칭)" осмонҳо ва заминро офарид. 키르기스스탄어Башында "Кудай(쿠다이: 달신 알라의 호칭)" асман менен жерди жараткан. 카자흐스탄어 Әуел баста "Құдай(쿠다이: 달신 알라의 호칭)" аспан мен жерді жаратты
카자흐스탄의 카자흐어 "Құдай"(Quday 쿠다이), 투르크메니스탄의 투르크멘어는 이슬람 용어에서 달신 알라의 속성을 의미하는 호칭으로 달신 알라의 이름이다.
이슬람 신학에서는 알라의 본질과 자질을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속성의 이름이 사용된다. 카자흐어 "Құдай", 투르크멘어 "Hudaý(후다이)"는 이슬람교 달신 알라의 신성한 측면을 강조하는 속성으로 알라(الله, Allāh)의 호칭이다.
투르크메니스탄,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 카자흐스탄은 역사적으로 이슬람 문화 및 신앙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이름의 유사성과 개념이 비슷하다. 후다이, 쿠다, 쿠다이는 모두 달신 알라의 개념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용어다.
투르크메니스탄(투르크멘어: Türkmenistan, 러시아어: Туркменистан)은 중앙아시아에 있는 이슬람 공화국이다. 이슬람교 93%, 기독교 6.4%다. 무슬림들은 이슬람 신앙의 5개 계명을 지킨다.
(1) 그들은 "알라 외에 다른 신은 없으며 모하메드는 그의 예언자이다"라고 시인하면서 매일 "샤하단(shahadah)"을 암송한다.
(2) 하루에 5번씩 메카를 향해서 "살라트(Salat)", 즉 매일의 기도를 한다.
(3) "자카트(Zakat)", 즉 자선은 중요한 의무로 간주된다.
(4) 특히 "라마단(람잔)" 성월(聖月) 기간에는 "사움(Sawm)", 즉 금식을 해야 한다.
(5) 한 사람이 일생 동안 적어도 한 번은 메카를 향한 이슬람권 최대 연중행사인 성지순례 "하지(Hajj)", 즉 순례여행을 가야 한다.
남자들은 가능한 때에 이슬람 사원(mosque)에서 기도 인도자의 인도에 따라 기도한다. 여자들은 대개 집에서 기도하는데, 이슬람 사원(mosque)에서 예배를 드릴 때에는 남자와 분리된다.
Nazar (amulet) 나자르(부적)
유일신 "Hudaý(후다이: 달신 알라의 호칭)"에 대한 믿음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타타르인(튀르크 계통 부족의 하나)"들은 성인(聖人)과 성소(聖所)를 경배하기도 한다. 초자연적인 힘에 대한 신앙도 여전히 남아있는데, 예를 들어 이슬람이 들어오기 이전 시대에 있었던 "악마의 눈"(노려보면 해를 가져오게 된다는 상상적인 힘)과 같은 것이 지금까지 존속한다.


▲미국 매사추세츠 주 보스턴 '퀸시 마켓'의 한 상점에서 판매되는 나자르(사악한 눈에 대항하는 부적). 나자르를 나비나 기독교 이콘 이미지로 설정하는 등 단순한 전통 형식에 대한 다양한 변형을 볼 수 있다.
'악마의 눈(Devil Eye)'은 터키어로 '나자르 본주(Nazar Boncuğu)'라고 한다. '나자르'는 '악마의 눈을 바라보는 것'을 의미하고, '본주'는 '구술'을 뜻한다는 것이다.
터키인들은 너나 할 것 없이 '악마의 눈이 행운을 가져다준다'라고 믿는다. 그래서, 집 앞이나 집안 곳곳에 '악마의 눈'을 걸어둔다. 또한, 목걸이나 키홀더(Key holder) 등으로 만들어 몸에 지니고 다니는 부적의 개념으로도 사용하고 있다.
카자흐어 "Құдай"(Quday, qudaý 쿠데이, 쿠다이)와 투르크멘어 "Hudaý(후다이)", 키르기스어 "кудай(kuday 쿠다이)" 등 이슬람 용어에서 달신 알라(Allāh)의 속성을 나타내는 호칭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호칭은 이슬람 신앙에서 알라(Allāh)의 다양한 속성과 특성을 강조하고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슬람 신앙에서 알라(Allāh)는 다양한 속성과 특성을 가지며, 이러한 속성은 이슬람 신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여러 다른 언어와 문화에서는 이러한 속성에 대한 고유한 표현으로 이는 종교와 문화 간의 상호작용과 다양성을 반영한다.
카자흐스탄과 투르크메니스탄은 이슬람 문화와 전통을 공유하는 국가이며, 각 나라의 언어와 문화는 종교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다양한 표현으로 종교적 신념과 표현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튀르크족어는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튀르키예, 아제르바이잔 등의 튀르크 계열 민족이 사용한다.
튀르크계 민족들은 다양한 지역과 국가에서 이슬람 신앙과 관련된 다양한 언어와 문화를 공유하며, 이러한 공통의 신앙적 표현을 통해 종교적 신념을 나타내고 공유하는 역할을 한다. 이것은 종교와 문화의 다양성과 상호작용이 종교 공동체 내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보여주는 흥미로운 사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