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와힐리어 “하나님(뭉구)"은 당신을 축복하십니다.” (“Mungu akubariki.” 뭉구 아쿠바리키). 스와힐리어 “예수님은 당신을 사랑하십니다.” (“Yesu anakupenda” 예수 아나쿠펜다). 스와힐리어(Kiswahili)는 동아프리카 지역 탄자니아, 케냐, 그리고 모잠비크 북동부 해안에 그 원어민의 수가 제일 많이 분포되어 있다. 해당 세 국가 및 콩고민주공화국, 르완다, 부룬디, 말라위에서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으며 또한 아프리카 연합의 공용어이기도 하다. 탄자니아 기독교 63.1%, 케냐 기독교(80%), 모잠비크 기독교 약 80%, 우간다 기독교 85%, 기독교 95.8%.
'뭉구(God)의 동의어 '몰라(Mola)'는 이슬람의 달신 '알라(Allah)'
기독교 바이블 스와힐리어 창세기 1:1 Hapo mwanzo Mungu aliziumba mbingu na nchi. 태초에 "뭉구님(달신 알라)"이 천지를 창조하셨다. 공용어로 쓰는 나라 탄자니아, 케냐, 우간다, 르완다, 콩고 민주 공화국, 동아프리카 공동체
스와힐리어 | 동의어 | Mola(몰라) | 동의어 |
Mungu(뭉구), Mngu(멍구) 반투족의 부족신 |
Mola(몰라), From Arabic مَوْلَى (마울라 Lord) |
이슬람의 달신 알라(الله, Allāh)의 호칭 |
Mungu(뭉구), 알라(الله), maulana(마울라나) |
스와힐리어 고유명사 "Mungu(뭉구)" 신(God)은 일신교(一神敎)의 단일 신(single deity of monotheism)으로 동의어(Synonyms)가 Mola(몰라), maulana(마울라나)다. 대체 양식(Alternative forms)은 Muungu(무운구)다. 옛날 구식 이름이 고유명사 "Mngu(멍구)"다. "몰라(Mola)"는 From Arabic(아랍어) مَوْلَى (mawlā 마울라, “Lord”)에서 유래하였다.
고유명사 "몰라(Mola)"는 이슬람의 하나님(God) 달신 "알라(الله, Allāh)"를 지칭한다. 동의어(Synonyms)는 "뭉구(Mungu)", "알라(Allah)", "마울라나(maulana)"다. 그리고 "마울라나(maulana)"는 From Arabic(아랍어) "مَوْلَانَا (mawlānā 마울라나 "our Lord 우리 주인님")에서 유래하였다. "마울라나(maulana)"는 이슬람의 "주인님(Lord)"에 해당하는 호칭으로 '신(神 god, deity)'을 지칭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된다. 동의어(Synonyms) 또한 "mola(몰라)", "Mungu(뭉구)"다.
쉽게 설명 하자면 고유 명사 "Mungu(뭉구)"는 스와힐리어로 신(God)을 뜻하며 일신교의 유일한 신(God) "알라(Allah)"다. 다른 형태로는 "Muungu(무운구)"가 있으며 구식 버전은 Mngu(멍구)다. 동의어 "Mola(몰라)"는 신, 특히 이슬람의 "알라(الله, Allāh)"를 가리키는 또 다른 스와힐리어 고유명사다.
"Mungu(뭉구)" 및 "Allah(알라)"와 동의어다. "Mola(몰라)"라는 용어는 "주인(Lod)"을 의미하는 아랍어 단어 "mawlā(마울라)"에서 파생되었다. 이슬람에서는 종종 "우리 주인님(our Lord)" 또는 "신(God)"에 해당하는 칭호로 사용된다.
"Maulana(마울라)"는 아랍어에서 파생된 또 다른 용어로, 특히 "مَوْلَانَا"(mawlānā 마울라나)는 "우리 주인님(our Lord)"을 의미한다. 그것은 또한 '신(神 god, deity)'이나 신성(神聖)을 언급할 때 이슬람에서 사용된다. Maulana(마울라나) 또한 Mola(몰라) 및 Mungu(뭉구)와 동의어다.
요약하면 기독교의 하나님(God) "Mungu(뭉구)", "Mola(몰라)" 및 "Maulana(마울라나)"는 스와힐리어 고유명사로 이슬람과의 달신 "Allah(알라)"와 동의어로 간주된다. ▶기독교와 '알라(الله)'
탄자니아와 말라위 '반투족(Bantu)'의 '부족 신화'에 나오는 창조주 "Mulungu(물룽구)"에서 파생한 달신(moon god) "Mungu(뭉구)"
기독교 스와힐리어 바이블 고린도전서 3:16 Hamjui ya kuwa ninyi mmekuwa hekalu la Mungu, na ya kuwa Roho wa Mungu anakaa ndani yenu? 너희가 "달신 뭉구(Mungu)"의 "절(사원, 神殿: hekalu)"이 된 것과 "달신 뭉구(Mungu)"의 "영혼(靈魂 Roho: 귀신, 혼령)"이 너희 안에 거하시는 것을 알지 못하느냐?
기독교 스와힐리어 바이블 마가복음 1:1 Mwanzo wa Injili ya Yesu Kristo, Mwana wa Mungu. "달신 뭉구(Mungu)"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의 시작입니다.
스와힐리어 고유명사 'Mungu(뭉구)' 달신 "알라(الله)"는 이슬람이나 기독교의 도래와 함께 <동아프리카, 특히 탄자니아와 말라위 반투족의 '부족 신화'에 나오는 창조주> "Mulungu(물룽구)"라는 단어는 일반적으로 기독교의 신(Mungu 뭉구) 또는 이슬람의 달신 '알라(الله, Allāh)'을 의미하는 데 채택되었다. 30개 이상의 아프리카 언어로 아프리카 언어로 기독교 바이블(Bible) 번역본은 '아버지(Πάτερ ἡμῶν)'를 지칭하기 위해 'Mulungu(물룽구)'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또 다른 예로 '예수 그리스도'는 '체와어(말라위)'로 된 현대 종교 노래에서 'mwana wa Mulungu(음와나 와 물룽구: 달신 물룽구의 자녀)'로 언급된다. 이 단어는 "Mungu(뭉구)"라는 파생어가 더 보편화되기 전에 스와힐리어 이슬람 문헌에서도 사용되었다.
Bantu(반투) 종족 그룹은 실제로 Bantu 언어를 사용하는 약 400개의 개별 종족 그룹으로 구성된 크고 다양한 그룹이다. 이 언어는 중부, 남동부 및 남아프리카의 광대한 지역에 걸쳐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사용한다.
Bantu 언어는 더 큰 Niger-Congo(니제르콩고) 어족의 한 가지이며 특정 언어적 특징과 '공유하는 어휘가' 특징이다. "언어"와 "방언"을 정의하는 데 사용되는 기준에 따라 440~680개의 서로 다른 반투 언어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언어는 다양한 정도의 상호 명료성을 나타내며 일부는 다른 언어보다 더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Bantu 언어는 해당 언어가 사용되는 지역에서 중요한 문화적, 역사적 중요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들은 다양한 Bantu 종족 그룹의 의사소통, 문화적 표현 및 정체성의 수단으로 사용된다. 약 6천만 명의 반투족 언어 사용자가 있는 '콩고민주공화국'에는 수많은 반투족 또는 부족 집단이 거주하고 있다.
반투 신화(Bantu mythology) 무당(巫堂) "응강가(mganga)"
"무당(巫堂)" "응강가(nganga)"는 반투어로 "무의(영적 치료사)"를 가리키는 말이다. "응강가"는 은키시라는 '영(귀신)'을 사역하여 그 권능을 부리는 자다. 아프리카뿐 아니라 아이티, 브라질, 쿠바 등 아프리카인들이 퍼져나간 지역에 "응강가 샤머니즘"도 함께 퍼져나갔다.
콩고가 15세기 이후 기독교로 개종하면서 "전통 샤머니즘" "무의(영적 치료사)"들과 "기독교 사제"들을 모두 "응강가(nganga)"라고 칭했다. 현대 콩고어에서 <기독교 사제들은 "Nganga a Nzambi(응강가 아 은잠비)"라고 한다.> 놀랍게도 기독교의 사제와 죽은 조상의 "영혼(귀신, 유령, 혼령)"과 소통하는 "무당(巫堂)" "응강가(nganga)"는 똑같은"무당(巫堂)"이라는 호칭을 사용한다.
남아프리카의 줄루인들의 두 가지 "무당(巫堂)"이 있었는데, 조상의 "영혼(귀신, 유령, 혼령)"과 통하는 사제적 성격의 "무당(巫堂)"을 "상고마(sangoma)"라고 했고, 의사 역할을 하는 "무의(영적 치료사)"를 "이냥가(inyanga)"라고 했다. 하지만 이 구분은 많은 지역에서 흐려져서 대개 "무당(巫堂)"들이 "상고마와 이냥가"를 겸한다. 옆동네의 '스와힐리어(Kiswahili)'로는 "무의(영적 치료사)"를 "음강가(mganga)"라고 한다.
"상고마(sangoma)"는 조상의 영혼 소유, 영매, 뼈 던지기 또는 꿈 해석을 통해 환자를 위한 조상의 조언과 지도를 받을 수 있다고 믿는다. 빙의 상태에서 "상고마"는 북을 치고 춤을 추고 노래를 부르며 무아지경에 빠지고 조상이 자신의 몸을 소유하고 환자와 직접 소통할 수 있도록 중재자 역할을 한다.
짐바브웨의 쇼나인 들은 약초와 종교를 이용해 사람을 고치는 전통치유사를 "은앙가(n'anga)"라고 한다. 짐바브웨의 "은앙가"들은 짐바브웨 전국전통치유사 협회(ZINATHA)라는 협회에 등록을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