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라틴어 Deus(데우스, 제우스)는 "귀신(神 God)" 또는 바알숭배 종교인 기독교 바이블(Bible)에 나오는 "신들(Deity: 귀신의 왕 바알세불 제우스, 제우스의 아들 사기꾼 예수, 빠라메슈와라 시바, 달신 알라, 태양신 카미, 무당과 도교의 수호신 상제, 불교의 붓다, 좀비왕 나잠베 등)"을 뜻하는 라틴어 단어다. 데우스(Deus 제우스)와 디부스(dīvus: 신령한), 디바(dīva 여신)는 이태리 조어 *deiwos(데이보스), 인도유럽조어 *deywós(데이워스), "천상의" 또는 "빛나는"의 원시 인도-유럽 판테온의 최고 신 디에우스(*Dyēus: 신성한 쌍둥이와 새벽의 여신 아버지)와 같은 어근에서 유래한 말이다.
기독교 불가타역(vulgō 싸구려) '데우스(제우스)'
기독교 바이블 불가타역(vulgō 뜻: 방송하다, 흩뿌리다, 누설하다, 공표하다, 천하게 하다
싸게 하다, 떨어뜨리다, 타락시키다, 싸구려로 만들다) 창세기 1:1-5 직역
1 In principio creavit Deus caelum et terram.?
2 Terra autem erat inanis et vacua, et tenebrae super faciem abyssi, et spiritus Dei ferebatur super aquas.
3 Dixitque Deus: "Fiat lux". Et facta est lux.
4 Et vidit Deus lucem quod esset bona et divisit Deus lucem ac tenebras.
5 Appellavitque Deus lucem Diem et tenebras Noctem. Factumque est vespere et mane, dies unus.
1. 태초에 귀신의 왕 바알세불 제우스님(데우스)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
2. 땅이 혼돈하고 공허하며 흑암이 깊음 위에 있고 귀신의 왕 바알세불 제우스님(데우스)의 영혼(혼령, 유령, 귀신)은 수면 위에 운행하시니라
3. 귀신의 왕 바알세불 제우스님(데우스)이 이르시되 빛이 있으라 하시니 빛이 있었고
4. 빛이 귀신의 왕 바알세불 제우스님(데우스)이 보시기에 참 좋았더라 귀신의 왕 바알세불 제우스님(데우스)이 빛과 어둠을 나누사
5. 귀신의 왕 바알세불 제우스님(데우스)이 빛을 낮이라 부르시고 어둠을 밤이라 부르시니라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이는 첫째 날이니라
기독교 바이블 불가타역(vulgō 뜻: 방송하다, 흩뿌리다, 누설하다, 공표하다, 천하게 하다
싸게 하다, 떨어뜨리다, 타락시키다, 싸구려로 만들다) 요한3서 1:2 직역
Carissime, in omnibus exopto prospere te agere et valere, sicut prospere agit anima tua
사랑하는 자여 네 영혼(아니마: 혼령, 유령, ,정령, 귀신)이 잘됨 같이 네가 범사에 잘되고 강건하기를 내가 간구하노라
영혼(靈魂) 할 때 영(靈)은 신령 령이라는 한자로, 신령(神靈), 망령(妄靈), 귀신(鬼神) 등을 나타내는 巫(무당 무)와 음을 나타내는 霝(비올 령)이 합쳐진 형성자로 무당(巫)이 기우제(雨)를 지내기 위해 동물의 대가리 셋(口)을 바치고 있는 형상이다. 그리고 영혼(靈魂)할때 혼(魂)은 뜻을 나타내는 鬼(귀신 귀) 자와, 소리를 나타내는 云(이를 운) 자가 합쳐진 형성자다. 云(운)은 '이를 운'이라는 한자로, '이르다(말하다)'를 뜻하며 曰(가로 왈)처럼 '~라고 말하다'라는 식의 인용문에 쓰이는 한자다.
풀이하자면 영혼(anima 아니마: 혼령, 귀신, 유령, 정령)이 사람의 마음과 뇌리, 귓가에 뭔가를 속삭이고 소통하는 형국이다. 그리고 영혼(靈魂)을 뜻하는 라틴어 애니미즘(Animism) 정령신앙(精靈信仰 해와 달, 별과 같은 천체나 바위, 강, 바다 등 자연물에 귀신의 혼령, 유령, 정령이 깃들어 있다는 귀신숭배 사상)이 그리스어 ψυχή(프시케) 라틴어 anima(아니마)가 여기서 유래되었다. 바알숭배 종교인 기독교의 영혼(靈魂: 무당의 귀신, 혼령, 유령)이 곧 무속신앙과 불교 등의 용어와 똑같은것을 알수 있다.
히브리어 원문(original text)에는 영혼(靈魂: 무당의 혼령), 영(靈: 무당영), 성령(聖靈: 무당의 신령), 성령 충만( 聖靈 충만: 무당의 신령한 영으로 충만)과 같은 단어는 단 한번도 나오지 않는다. 바알숭배 종교인 기독교와불교, 무당들의 용어다. 히브리어 원문에는 נֶפֶשׁ(네페쉬: 생명), רוח הקודש(루아흐 하코데쉬: 거룩한 기운, 생기, 힘, 에너지) 등으로 묘사하고 있다.
기독교 바이블 불가타역(vulgō 뜻: 방송하다, 흩뿌리다, 누설하다, 공표하다, 천하게 하다
싸게 하다, 떨어뜨리다, 타락시키다, 싸구려로 만들다) 요한1서 4:15 직역
15 Quisque confessus fuerit: " Iesus est Filius Dei ", Deus in ipso manet, et ipse in Deo
요한1서 4:15 누구든지 사기꾼 예수 그리스도를 귀신의 왕 바알세불 제우스의 아들이라 시인하면 제우스님이 그의 안에 거하시고 그도 귀신의 왕 바알세불 제우스님 안에 거하느니라
바알숭배 종교인 기독교 하나님(God) 데우스(제우스)
바알숭배 종교인 기독교 하나님 고전 라틴어 "Deus"(데우스)는 신(神 god, deity)을 뜻하는 단어다. "deus"라는 용어와 관련 용어 "dīvus"(신성한)는 "천상의" 또는 "빛나는"을 의미하는 인도유럽조어 데이보스(*deiwos)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이 뿌리는 원시 인도유럽 판테온(Πάνθειον)의 주요 신인 디에우스(*Dyēus)와 같은 어근에서 유래했다. 그리스의 Ζεύς(제우스), 로마의 유피테르, 힌두교의 디아우스 피트르, 발트의 디에바스, 슬라브의 신 데이보스, 노르드의 신 튀르와 동일시 된다.
그리고 기독교 바이블 불가타역(vulgō) 데우스(Deus 제우스)는 같은 인도유럽어족인 산스크리트의 데바(Deva), 그리스어 제우스(Ζεύς,디아스 Δίας), 도릭 그리스어 데우스(Δεύς, 로마자 표기 데우스 Deús ), 리투아니아어 디에바스(dievas), 라트비아어의 디에우스(dievs)와 어원이 확실하게 동일하다. 이처럼 바벨론종교의 전신인 기독교는 완벽하게 제우스 숭배종교임을 알수있다.
데이보스(deiwos) 또는 로드(Род), 프라보그(Prabog)는 슬라브 신화의 창조신이다. 디에우스(원시 인도유럽어: Dyēus) 또는 디에우스 프테르(원시 인도유럽어: Dyēus P'ter)는 하늘을 다스리는 아버지 신으로서 원시 인도유럽 신화의 천공신이자 최고신이다. 또한 디에우스(*Dyēus)는 신성한 실체로 생각되는 하늘 또는 낮이었고, 신들로 가는 관문이자 신성한 쌍둥이와 새벽의 여신(*H²éwsōs)의 아버지인 디에우스(*Dyēus)는 원시 인도 유럽 판테온(Πάνθειον)에서 유명한 신이었다.
디에우스(*Dyēus)와 관련된 가장 지속적인 별명은 "아버지"(*ph₂tḗr)다. "아버지 Dyēus"라는 용어는 Vedic(베다)의 Dyáuṣ Pitṛ́(디아우스 프트르), 그리스어 Zeus Patēr(제우스 파테르), 고대에 발칸 반도 서부에 거주했던 인도유럽어를 사용하는 민족 의 집단 Illyrian(일리리아인)은 Dei-pátrous(데이 파트로우스), Roman Jupiter(로마의 주피터 *Djous patēr 죠오스 파테르)에서 계승되었으며 심지어 스키타이어 Papaios(파파이오스)에서는 Zeus(제우스)를 뜻하는 "dad(다드: 아버지)" 또는 "papa(파파: 아버지)"의 형태로도 사용되었다.
이것이 오늘날 바알숭배(ἰχθύς & דָּגוֹן) 종교인 기독교 그리스도인들의 "주기도문(Πατήρ ημων 파테르 헤몬: 우리 아버지 제우스, 마태복음 6:9)"은 신들과 인간들의 아버지 귀신의 왕 바알세불 제우스(Ζεύς) 아문(Ἄμμων רָ֑ע)의 별칭이 되었다. 그 뜻은 "우리 아버지 제우스"라는 뜻이다. 그래서 기독교의 바알(바알세불: 아버지는 다곤) 사제들은 제우스의 전령(전도자) 제우스의 지팡이(목자 지팡이)를 들고 다닌다. 현존하는 고대 그리스 문학중 가장 오래된 서사시 호메로스의 일리아드(Iliad)에서 "그는 인간과 신들의 아버지였다."(Πατέρας των θεών και των ανθρώπων)
주교 지팡이(라틴어: Baculus Pastoralis 빠쿨루스 빠스토랄리스)는 바알숭배 종교인 기독교의 고위 성직자인 주교가 휴대하는 지팡이로, 소유주의 직무를 상징한 것이다. 그외 사용되는 고위 성직자의 상징으로는 주교관(다곤신의 어두관)과 주교 반지가 있다. 바쿨루스, 주교장(主敎杖) 또는 목장(牧杖), 목자 지팡이이라고도 부르며, 성공회(개신교)에서는 헤르메스의 지팡이(제우스의 전령 목자 지팡이)를 거룩한 지팡이라는 뜻으로 성장(聖杖)이라고 부른다. 카톨릭 큰 물고기 다곤(דָּגוֹן)의 어두관, 개신교 작은 물고기 익투스(ΙΧΘΥΣ) 어두관(미트라관)을 머리에 쓰고 다닌다.
고전 라틴어에서 Deus(데우스)는 신(神 귀신, 천신) 을 가리키는 일반 명사인 반면, 기술적 용법에서 '신성한(divus, diva: 고대 로마에서 신 또는 여신)' 황제나 여신을 지칭하는 용어다. 이것이 후기 라틴어에서는 데우스(Deus)가 주로 바알숭배 종교인 기독교 신(Deus)으로 사용되었다. 갈리시아어와 포르투갈어 데우스(Deus), 카탈로니아어 Déu(데우), 프랑스어와 옥시탄어(Occitan: 프랑스 남부, 스페인 북동부, 이탈리아 북서부 및 모나코)는 Dieu(디에우, 듀), 프리울리안(Friulian: 이탈리아 북동부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 지방)과 시칠리안(Sicilian)은 Diu(디우), 이탈리아어 Dio(디오), 스페인어 Dios(디오스) 등이 있다.
켈트족(바알숭배 종교인 기독교의 조상) 언어 역시 웨일스어 "Duw(듀)" 및 아일랜드어 "Dia(디아)"와 같은 변형으로 이 용어를 계승했다. 이러한 언어적, 문화적 연속성은 "신(神: 귀신)" 이라는 용어로 표현되는 개념이 라틴어의 다양한 단계와 그 영향을 통해 어떻게 지속되고 적응되었는지를 보여준다.
리투아니아 디에바스(Lithuanian Dievas), 라트비아 디에브스(Latvian Dievs), 라트갈리아 디브스(Latgalian Dīvs), 구프로이센 디에워스(Old Prussian Dìews), 요트빙기안 데이바스(Yotvingian Deivas)는 발트 신화의 원시 최고 신으로, 페르쿠나스와 함께 가장 중요한 신 중 하나이자 고대 발트해와 프로이센 신화에서 바다, 땅, 곡식 및 작물의 신 포트림포(Potrimpo)의 형제이다. 그는 빛의 신, 하늘, 번영, 부, 신들의 통치자, 우주의 창조자였다. 디에바스는 원시 인도 유럽 최고의 하늘 아버지(Sky father) 데이워(*deiwo)의 직계 후계자다.
데바(देव Deva 힌두교의 남신)의 의미는 "빛나는 존재", "신성한"이다. 인도이란어 *daiv(다이브)와 인도유럽어 데이워(*deiwo)에서 유래했으며, 여성형인 데비는 데이워(*deiwo)의 여성형 데이위(*deiwih)에서 유래되었다. 이 단어들은 "빛나는", "천체" 등의 뜻을 가졌고, 라틴어의 "Deus(데우스)"와 그리스어의 "Ζεύς(제우스)라는 단어는 동일한 인도 유럽 어근 데이워(*deiwo)에서 유래했다. "빛나는" 또는 "신성한"이라는 공통된 의미다. 베다 시대의 최고신 중 하나였던 천공신 드야우스(Dyaus는 Dieus라고도 함)의 이름도 이 단어들이 어원이다.
특히 기독교 불가타역 라틴어 텍스트의 데우스(Deus)는 같은 인도유럽어족인 산스크리트의 데바(Deva 힌두교의 남신 ), 그리스어의 하늘 아버지(Sky father)로 불리는 귀신의 왕 바알세불 제우스(Ζεύς), 디아스(Δίας), 리투아니아어, 라트비아어의 디에바스(Deivas), 디에우스(Dievs)와 어원이 모두 동일하다. 데우스(Deus)는 라틴어로 신을 의미하는 단어다. 이것이 바로 바벨론종교의 전신이며 바알숭배 종교인 기독교 불가타역 라틴어 텍스트의 하나님(God)이다.
하늘 아버지(Sky father)는 베다의 디아우스 피타(Vedic Dyaus Pita)를 직역(번역)한 것으로, 어원적으로 그리스 제우스 파테르(Zeûs Pater)와 로마의 목성(Jupiter)과 같은 원시 인도-유럽 신들의 이름인 디에우스 프테르(원시 인도유럽어: Dyēus P'ter)의 후손이다.
고대 그리스어 신들과 인간들의 아버지(πατέρας θεών και ανθρώπων)로 불리는 귀신의 왕 바알세불 Ζεύς(제우스) 신을 보이오티아(Boeotian: 코린토스만 동북쪽에 있는 그리스의 한 지방)와 라코니안인(Laconian)의 방언(지방 사투리)이 고유명사 Δεύς(Deús 데우스)였다. 라코니아어는 펠로폰네소스 남부의 라코니아인과 마그나 그라이시아(Magna Graecia: 이탈리아 남부와 시칠리아 지역)의 식민지 타라스(Taras)와 헤라클레이아(Heraclea)다.
이상과 같이 기독교(제우스 숭배종교)는 완벽한 사탄숭배 종교임을 명확하게 역사가 증명해주고있다. 정확하 게 한 문장으로 표현 하자면 "고린도후서 11:14 이것은 이상한 일이 아니니라 사탄도 자기를 광명의 천사로 가장하나니.." 창조주 야훼께서는 귀신의 바알세불 제우스의 아바타(ΙΧΘΥΣ) 사기꾼 예수 그리스도를 메시아로 보낸적도 없을뿐만 아니라 히브리어 원문에는 "예수 그리스도(퀴리오스: 노예의 주인)"라는 단어 자체가 단 한마디도 없다.
"사도행전 16:31 이르되 아도나이(아돈: 우주만물의 주권자) "예슈아님(ישוע = יהוה)"을 믿으라 그리하면 너와 네 집이 구원을 받으리라.." וְהֵם אָמְרוּ הַאֲמִינָה בָּאָדוֹן יֵשׁוּעַ הַמָּשִׁיחַ וְתִוָּשַׁע נַפְשְׁךָ וְנֶפֶשׁ בֵּיתֶךָ׃
데우스(Deus)의 Cognates(진짜 동족) '제우스(Ζεύς)'
귀신의 왕 바알세불 제우스(Ζεύς)는 고대 그리스어 보이오티아(Boeotian), 이오니아(Ionic)방언으로 티오스(Θιός )라고 불렀다. 그리고 바알숭배 종교인 기독교 하나님 테오스(Θεός )를 고대 그리스어 보이오티아(Boeotian), 아르카도키프로스(Arcadocypriot: 펠로폰네소스 중부 아르카디아와 키프로스)에서 사용된 고대 그리스 방언으로는 티오스(Θιός)라고 불렀다.
또한 고대 그리스 도릭 방언(Doric Greek)으로 제우스(Ζεύς)를 데우스(Δεύς, 로마자 표기 데우스 Deús)라고 불렀다. 이처럼 기독교 하나님(God) 라틴어 데우스(Deus)와 그리스어 테오스(Θεός)의 진짜 이름의 동족(Cognates)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귀신들의 왕 바알세불 제우스(Ζεύς)다.
1. 제우스(Ζεύς)의 Attic Greek(아틱 그리스어): 표준 표기는 데우스(děu̯s) 또는 제우스(zéus)다. 제우스(Ζεύς)의 Attic Greek(아틱 그리스어)의 음성 학적으로 음역한것이 Zdeús(데우스) 또는 Dzeús(제우스)다.
아틱 그리스어는 아테네의 폴리스를 포함한 고대 아티카 지역의 그리스 방언이다. 종종 고전 그리스어라고도 불리는 이 방언은 수세기 동안 그리스 세계의 명문 방언이었으며 고대 그리스어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언어의 표준 형식으로 남아 있다. 헬레니즘 코이네의 기초가 된 이 방언은 고대 방언 중 후기 그리스어와 가장 유사하다. 아틱 그리스어는 전통적으로 이오니아 분파의 일원 또는 자매 방언으로 분류된다.
2. 제우스(Ζεύς)의 Doric Greek(도릭 고대 그리스 방언): 데우스(Δεύς)이며, 로마자 표기는 데우스(Deús)다.
도릭어 또는 도리안어(고대 그리스어: Δωρισμός, 로마자 표기: 도리스모스)는 서 그리스어로도 알려진 고대 그리스 방언의 한 그룹으로, 그 종류는 도릭어 고유어와 북서 도릭어 하위 그룹으로 나뉜다.
도리스어는 그리스 북부(아카르나니아, 애톨리아, 에피루스, 로크리스 서부 및 동부, 포시스, 도리스, 고대 마케도니아), 대부분의 펠로폰네소스(아케아, 엘리스, 메세니아, 라코니아, 아르골드, 아기나, 코린트, 메가라, 고린도, 메가라), 에게해 남부(키티라, 밀로스, 테라, 크레타, 카르파토스, 로도스), 키레네, 마그나 그라시아, 흑해, 이오니아 해, 아드리아 해 등 앞서 언급한 일부 지역의 식민지에서도 사용되었다. 또한 그리스 성지인 도도나, 델피, 올림피아, 그리고 판헬레네의 4대 축제인 이스트미안, 네메안, 피티아, 올림픽에서도 사용되었다.
바알숭배 종교인 기독교 바이블에서 라틴어 데우스(Deus)는 Vetus Latina(베투스 라티나 불가타 이전에 있었던 기독교의 라틴어역 바이블)와 제롬(Jerome)의 불가타(Vulgate)에서 그리스어 Θεός(Theós 테오스)를 일관되게 번역하였다. 이처럼 라틴어 데우스(Deus)는 신(神)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Θεός(테오스)로 번역될 수 있지만 진짜 조상이 똑같은 동족어(ognates 어원)는 고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신들의 왕 제우스( Ζεύς)다.
라틴어 데우스(Deus)의 한 형태와 별칭인 "아버지"를 뜻하는 '파테르(πάτερ, pater: 제우스의 별명)'를 결합하면 제우스에 해당하는 로마 신화의 이름인 하늘의 신 ' Diespiter(디에스 피테르)'가 파생되었다. 나중에 ' 유피테르(Iuppiter)' 또는 ' 주피터(Jūpiter)'라고 불리며, 이탈리아 조어(Proto-Italic) '죠오스 파테르(*djous patēr)'에서 유래했으며, 인도유럽조어 어근 '*Dyḗws*Pahtḗr(다이워스 파테르: 문자 그대로 '하늘의 아버지'를 의미함)'의 후손이다.
동일한 어근에서 'Doric Greek(도릭 그리스어) Δεῦ πάτερ(데우 파테르)', Attic Greek(아틱 그리스어) Ζεῦ πάτερ(제우 파테르: "O father Zeus 오 아버지 제우스")가 파생되었다. 여기서도 힌두의 하늘의 신 'Dyáuṣ Pitṛ́(디아우스 피트르: Vedic Sanskrit: Dyáuṣpitṛ́, ديौषप्तृ)' 그리고 원시 인도유럽어 '디에우스 프테르(Dyēus P'ter)'의 이름도 파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