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태국불교 하나님 '프라짜우'(พระเจ้า)

by Ahuviאב 2023. 7. 13.

 

태국불교와 기독교의 하나님 "프라짜우(พระเจ้า)"의 사전적 의미는 1.부처(석가모니불)  2. 불상(부처와 보살의 형상 3. 천신(공중의 권세자) 4. 불타(석가모니). 5. 옥황상제(玉皇上帝 무당과 도교의 수호신)를 의미한다. 태국은 국교가 없는 나라다. 태국 헌법에서는 국교를 규정하지 않으며 종교의 자유를 보장한다. 하지만 허락하는 종교가 제한되어 있어 불교, 시크교, 기독교, 힌두교, 이슬람교 이 5개 종교만 선택할 수 있고 그중에서도 상좌부 불교가 압도적이라 전체 인구의 95%가 불자이다. 국왕도 반드시 불자여야만 한다.

기독교의 창조주 부처님 "프라짜우(พระเจ้า)"

ปฐมกาล 1:1 Thai: from KJV(태국어 기독교 바이블 번역본 창세기 1:1) ในเริ่มแรกนั้น"พระเจ้า"ทรงเนรมิตสร้างฟ้าและแผ่นดินโลก. 한글 직역 프라짜우 "부처님(석가모니)"은 태초에 하늘과 땅을 창조하셨습니다. "프라짜우(พระเจ้า)" - 1. 부처(석가모니)  2. 불상  3. 승려, 스님, 중(승려)이라는 뜻이다. 

태국불교 신(神) 기독교 God 뜻과 의미 품사, 발생수
พระเจ้า(프라짜우)
부처님(Buddha)
พระเจ้า(프라짜우)
부처님(Buddha)
พระพุทธเจ้า(불교) 부처, 붓다
พระพุทธรูป (불교) 불상, 불타
품사: 명사(고유어)
발생수: 구약(2598회), 
신약(1327회 발생)

"라짜우(พระเจ้า)"는 พระพุทธเจ้า(부처)나 พระพุทธรูป(부처님)을 대표하거나 대표하는 불상이나 이미지를 말한다. พระ(프라: 부처, 불상, 불타) + เจ้า(짜우: 소유자, 주인, 통치자, 군주)가 합쳐진 단어다. 

 

접두사(พระ 부처, 불상, 불타, 석가모니) + 접미사(เจ้า 소유자, 통치자, 주인, 군주)가 합쳐진 단어가 기독교와 태국불교의 신(神 god, deity) 부처님(석가모니) "라짜우(พระเจ้า)"다.

 

"พระ(Phra 프라)"의 사전적 의미는 실제로 <불상, 불타, 부처, 승려>를 언급할 때 태국어로 사용되는 접두사다. 존경과 존중의 표현이다. "พระ(Phra 프라: 불상, 불타)"라는 단어는 "거룩한" 또는 "신성한"으로 번역될 수 있으며 앞에 오는 주제에 대한 경의와 존중을 표시하기 위해 경칭으로도 사용된다.

부처님이나 존경받는 승려의 이름이나 칭호 앞에 사용될 때 "พระ(Phra 프라)"는 그들의 영적 중요성을 인정하고 그들의 지위를 숭배하는 방법이다. 그것은 높은 수준의 존경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종교 및 의식 맥락에서 사용된다.

'부처님(프라짜우)'의 경전 '바이블(Bible)' "프라깜피(พระคัมภีร์)"

태국어 기독교 바이블 번역본 디모데후서 3:16 พระคัมภีร์ทุกตอนได้รับการดลใจจากพระเจ้า และเป็นประโยชน์ในการสอน การตักเตือนว่ากล่าว การปรับปรุงแก้ไขคนให้ดี และการอบรมในเรื่องความชอบธรรม. 디모데후서 3:16 한글 직역 모든 "프라깜피(불경)"은 "프라짜우(부처님)"의 감동으로 된 것입니다, 교훈과 책망과 바르게 함과 의로 교육하기에 유익하니

태국불교 경전 기독교 바이블 뜻과 의미 품사, 발생수
พระคัมภีร์ 프라깜피
"부처님의 경전"
พระคัมภีร์ 프라깜피
"부처님의 경전"
พระ(프라: 부처님) + คัมภีร์(깜피: 경전)의 합성어 '불경(佛經)' 명사(여성), 신약에만 51회
그라페(γραφὴ)의 번역어

"พระคัมภีร์(프라깜피)"는 พระ(프라: 부처님) + คัมภีร์(캄피: 경전)의 합성어부처님의 '경전(불경佛經)'이라는 뜻이다. 따라서 결합하면 "พระคัมภีร์"(Phra Kamphi)는 "부처님의 경전" 또는 "불교 경전"으로 번역된다. 그것은 인도와 영적 발전을 위해 불교도들이 매우 숭배하고 연구하는 부처님의 신성한 텍스트와 가르침을 말한다.

 

불경(佛經)이란 불교의 경전을 말한다. '8만 4천 가르침'이라고 비유될 정도로 엄청나게 방대하며 그 내용 역시 상당히 철학적이고 심오한 경우가 대부분이라 한 가지 경전의 의미만 깨우치는 것도 굉장히 오래 걸린다. 좁은 의미의 불경은 석가모니의 가르침을 기록한 경장(經藏, Sutra)만을 가리키지만, 넓은 의미에서는 경장뿐 아니라 계율을 기록한 율장(律藏, Vinaya), 경전에 대한 주석서인 논장(論藏, Abhidharma)까지 포함한 삼장(三藏, Tripitaka)을 모두 불경의 범주로 볼 수 있다. 이렇게 삼장을 비롯한 불교 관련 문헌 전체를 집대성한 것을 대장경(大藏經)이라고 한다.

 

태국불교와 기독교의 하나님 "프라짜우(พระเจ้า)"의 사전적 의미는 1. 부처(석가모니불)  2. 불상(부처와 보살의 형상 3. 천신(공중의 권세자) 4. 불타(석가모니). 5. 옥황상제(玉皇上帝 무당과 도교의 수호신)를 의미한다.

 

즉 기독교의 "하나님"과 태국불교의 부처도  모두 똑같은 "프라짜우" 부처님이고 불상도 "프라짜우"고 하늘에 있는 천신(天神)도 "프라짜우", 무당과 도교의 수호신도 "프라짜우부처님이다.

 

그리고 기독교 번역본 "바이블(Bible)"과 태국불교의 "경전(불경佛經)"도 모두 "프라깜피(พระคัมภีร์)" 곧 "부처님의 경전"이라고 통칭한다. 기독교의  "바이블(Bible)" "프라깜피(พระคัมภีร์)"는 พระ(프라: 부처님)과 คัมภีร์(깜피: 경전)의 합성어다. 말하자면 '불경(佛經)'이 곧 기독교 "바이블(Bible)이라는 뜻이다.

'부처님(프라짜우)'은 나의 목자 "프라야훼(Phrayahweh)"

เพลงสดุดี 23:1 Thai: from KJV "พระเยโฮวาห์"ทรงเป็นผู้เลี้ยงดูข้าพเจ้า ข้าพเจ้าจะไม่ขัดสน. 기독교 태국어 바이블 시편 23:1 "프라야훼(부처님)"는 나의 목자시니 내게 부족함이 없습니다.

태국불교 주인님 가독교 주인님 뜻과 의미 품사, 발생수
พระยาห์เวห์ 프라야훼
พระ + ยาห์เวห์
부처와 야훼의 합성어
พระยาห์เวห์ 프라야훼
พระ + ยาห์เวห์
부처와 야훼의 합성어
히브리어 고유명사 "야훼(YHWH)"의 번역어 해괴망측한 새로운 고유명사가 생겨남. 구약 6220회나 '각색함'
신약은 아예 삭제 하였음

시편 23:1 태국어 기독교 바이블 프라야훼(พระยาห์เวห์  Phrayahweh) "부처님"은 나의 목자시니 내게 부족함이 없습니다.라고 구약에만 무려 6220회나 '각색'하였다. 불교의 부처(프라"พระ: 불상, 불타: '석가모니'의 다른 이름)"와 헤브라이즘의 고유명사 "야훼(ยาห์เวห์ YHWH)"의 합성어로, 새로운 고유명사 "프라야훼"라는 해괴망측한 신조어가 파생되었다.

 

그러나 성경은 이렇게 경고하고 있다. 에스겔 36:20 그들은 여러 나라에 흩어져서, 가는 곳곳마다 나의 거룩한 이름을 더럽혔다. 그래서, 이방 사람들은 그들을 보고 '야훼의 백성이지만 야훼의 땅에서 쫓겨난 자들'이라고 하였다. 레위기 24:16 고유명사 "야훼(YHWH יְהוָה֙)"의 이름을 모독하면 그를 반드시 죽일지니 온 회중이 돌로 그를 칠 것이며 거류민이든지 본토인이든지 "야훼"의 이름을 모독하면 그를 죽이라고 말씀하고 있다. 출애굽기 23:13 너희는 내가 말한 모든 것을 조심스럽게 지켜라. 그리고 '다른 신들'(해괴망측잡신, 우상)의 이름은 부르지도 말고 그 신들을 너희 입 밖으로 들먹거리지도 말아라' 갈라디아서 1:8 그러나 우리나 혹은 하늘로부터 온 천사라도 우리가 너희에게 전한 "유일한 복음(בְּשׂוֹרָ YHWH=YESHUA)"외에 다른 복음을 전하면 "저주(אָרַר)"를 받을지어다.라고 말씀한다.

 

프라야훼(Phrayahweh)주어"พระ(프라: 부처)" 수식어"ยาห์เวห์(야훼 YHWH)"이기 때문에, 한글로 직역하자면 우주만물의 주권자 창조주 유일하신 전능자 "야훼"는 "불교의 석가모니 부처님이 곧 "천상천하유아독존(天上天下唯我獨尊)" 전능자 "야훼"라는 뜻이 된다. 속된 말로 주객전도(主客顚倒)가 된 꼴이다.

 

쉽게 설명하자면 태국 불교의 불타 석가모니, 보통은 석가모니불(Gautama Buddha)을 가리킨다. 이렇게 부처(붓다)와 헤브라이즘의 유일하신 창조주 야훼 엘로힘을 혼합하고 결합하여 만든 <이상한 잡신 이름이> 태국어 기독교 그리스도인의 하나님이 "프라야훼(พระยาห์เวห์ Phrayahweh)"다. 

 

예를 들자면 '크리슬람(Chrislam)'은 기독교의 하나님과 이슬람의 달신 '알라(الله)'를 혼합한 종교 명칭이 '크리슬람'이다. 더 나아가 기독교인들과 무슬림들이 함께 연합하여 예배도 드리는 운동으로 미주에서 교파를 초월하여 전국으로 퍼져나가는 운동이다. 테네시 주, 코르도바의 '하트송 침례교회(Heartsong Baptist Church)', 버지니아 주의 '올더스케이트 연합감리교회(Aldersgate United Methodist Church)' 등에서 무슬림들에게 예배장소로 교회를 개방하였고, 추수감사절 등 절기에는 이웃 무슬림들을 초청하는 축제를 한다. '컴버랜드 장로교회(Cumberland Presbyterian Church)'는 교회입구 간판에 '크리슬람(Chrislam)' 집회를 알리고, 아랍어와 함께 표기한다.

 

그리고 실제로 기독교의 하나님과 달신 '알라(الله)'는 모두 똑같은 '하나님(알라)'으로 기독교 번역본 바이블에 표기하고 있다. 그리고 전 세계 아랍권 기독교 바이블에는 기독교의 하나님을 알라(الله)'로 숭배하고 있는 것이 팩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