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레미야 50:2 히브리어 원문 '마르두크'
ירמיה 50:2 Hebrew OT: Westminster Leningrad Codex הַגִּ֨ידוּ בַגֹּויִ֤ם וְהַשְׁמִ֙יעוּ֙ וּֽשְׂאוּ־נֵ֔ס הַשְׁמִ֖יעוּ אַל־תְּכַחֵ֑דוּ אִמְרוּ֩ נִלְכְּדָ֨ה בָבֶ֜ל הֹבִ֥ישׁ בֵּל֙ חַ֣ת מְרֹדָ֔ךְ הֹבִ֣ישׁוּ עֲצַבֶּ֔יהָ חַ֖תּוּ גִּלּוּלֶֽיהָ׃
한글 음역 Korean transliteration
하기두 박고임 베하쉬미우 우쉬우 네스 하쉬미우 알 테카헤두 임루 닐케다 바벨 호비스 벨 하트 메로닥(마르두크) 호비수 아싸베하 하투 길루레하
한글 번역 Korean translation
너희는 바빌론의 멸망을 온 세계에 선포하고 알려라. 깃발을 세우고 선언하며 숨김없이 말하라. '바빌론이 함락되고 마귀들의 두목 벨 마르두크 신이 박살 났으며 그 신상들은 수치를 당하고 바빌론의 우상들이 다 파괴된다고 전해라
영어 음역 English transliteration
Hagidu Park Goim Behashmiu Ushiu Ness Hashmiu Al Tekkahedu Imru Nilkeda Babel Hovis Bell Hart Merodak Hobisu Asabeha Hattu Gilureha
영어 번역 English translation
You proclaim and announce to the whole world the fall of Babylon. Raise a flag, declare, speak openly. 'Say that Babylon is captured, that her god Bell Marduk is crushed, that her gods are put to shame, and that all her idols are destroyed.
기독교의 하나님 벨(바알) '마르두크'
마귀들의 두목 바알세불, 벨(바알) 마르두크 아눈나키의 신성한 솔방울 모양의 상징은 로마의 건축물이나 조형물뿐만 아니라 교황의 지팡이(Pope Staff)에서부터 미사에 쓰이는 촛대까지 로마 카톨릭에서 과거부터 지금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메소포타미아 신화의 담수와 바다를 관장하는 물고기 신(익투스ΙΧΘΥΣ), 엔키의 아들이 바로 아눈나키(마르둑)의 신성한 축복의 손에 들려있는 제3의 눈, 파인콘 솔방울 지팡이, 신성한 솔방울로 축북하는 프란치스코(교황), "피니얼 그랜드 Pineal gland(송과선)" 송과체의 신(神 god, deity) 지옥의 군주 "퀴리오스 바알 마르둑"이다. 마르둑(Marduk)이라는 이름의 어원은 "샤마쉬 태양신 불멸의 아들" 또는 "태양신 샤마쉬의 황소 송아지"라는 뜻이다.

루브르 박물관의 부조, 마르두크의 제3의 눈으로 불리는 솔방울의 신, 신들의 왕이자 마귀들의 두목인 아눈나키(Annunaki) 마르두크는 기원전 4000년 무렵에 가장 전성기를 누렸다. 수메르 신화의 아눈나키는 하늘의 신(神) 아누(Anu)와 땅의 신 키(KI)가 합쳐진 이름이 아눈나키(Annunaki)다. 이름의 뜻은 '하늘과 땅의 자식들'이라는 뜻이다.
처음에는 수메르 인들이 숭배하기 시작했으나, 이후 바빌로니아, 메소포타미아, 아시리아, 페니키아에서도 숭배하였다. 우르크의 아누(Anu)가 첫 지배자였으나, 이후 다곤(Dagon), 엔릴(Enlil), 마르두크(Marduk), 하다드(Ba’al-Hadad)가 차례로 지배했다.
마르두크는 바빌론의 수호신으로 "태양의 아들, 태양의 송아지"라는 뜻으로 "에아(엔키)"의 아들이다. 전통적으로 바빌로니아의 왕은 마르두크의 현신으로 마르두크 숭배 신앙의 수호자로 여겨졌다. 수메르 신화 의 Enki와 어머니 여신, 다산 의 여신 Ninhursag(닌후르쌍)의 아들이자 할아버지 Anu(아누)의 후계자로 간주되었다. 나중에 수메르의 신 벨과 합쳐져 "벨(바알) 마르두크"로 숭배되었다.
'에아'와 '엔릴'의 후계자로 악한 용 티아마트를 죽이고 티아마트의 시체를 이용하여 혼돈으로부터 세계를 창조하였다고 한다. 마르두크의 상징 동물은 괴물 무슈슈(Mušḫuššu) 용이다. 그리고 전통적으로 바빌로니아의 왕은 "마르두크의 현신(아바타)"으로 마르두크 신앙의 수호자로 여겨졌다.
익투스(ΙΧΘΥΣ) 통치자 임금 벨(바알) '마르두크'
글쓰기와 지혜의 신인 나부(Nabu)는 마르두크의 아들이다. 또한 마르두크(מְרֹדָךְ)는 구약성경 예레미야서(50:2)에 벨(바알)과 함께 단 한번 언급되지만 전 세계를 장악한 이름이다. 인류 최초의 제국, 바벨론 제국의 창건자인 반역자 니므롯(사탄 숭배자자) 곧 탐무즈(기독교의 성탄절 12월 25일)의 화신(avatar)이다.
행성은 목성(Δίας) 주피터(Jupiter)다. 바빌로니아인들에게 목성은 그들의 수호신 마귀들의 두목, 벨(바알) 마르두크를 상징했다. 이들은 목성이 황도를 따라 약 12년 동안 공전한다는 사실을 통해 황도 십이궁을 만들었다.
그런데 정말 놀라운 역사사적 사실은 바벨론 종교의 점성술 황도 12궁의 제12궁 쌍어궁(雙魚宮, ♓, Pisces) 예수 물고기 익투스(ΙΧΘΥΣ)의 통치자 임금이 바로, 주피터 바알 마르두크다. 익투스의 사전적 의미는 물고기, 작은 물고기, 멍청한 사람, 물고기자리라는 뜻이다.
이것이 바로, 오늘날 기독교의 구원자, 귀신의 왕 바알세불, 제우스의 아들 소테르 다이몬(Σωτήρ δαίμων)으로 불리는 예수 물고기 익투스다.
그리스 신화에서 소테르는 피해에서의 안전, 보존과 구원의 영혼(다이몬: 귀신, 악령)이었다. 소테르, 소테리아로 불린 신들은 포세이돈 소테르, 제우스 소테르, 디오니소스 소테르, 아테나 소테리아, 헤카테 소테리아가 있으며, 귀신들의 왕인 바알(바알세불) 제우스는 "제우스 소테르"라고 불리며 보호자이자 구원자다.
제우스는 안전과 복지를 보장하기 위해 다양한 상황에서 도움을 주고 개입할 수 있는 강력한 신으로 여겨졌다. 이것이 오는 날 기독교의 수호신 "제우스의 아들 구원자(소테르) 예수 그리스도(Υιός του Θεού, Σωτήρας Ιησούς Χριστός)"로 숭배받고 있다.
'✝️기독교바이블직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라티어 바이블 기독교 하나님 '데바(Deva)' (0) | 2023.08.23 |
---|---|
아랍어 바이블 출애굽기 3:13-16 직역 (0) | 2023.08.19 |
그리스어 70인역 창세기 1장 직역 (0) | 2023.08.18 |
'부처님(부야따킨)'이 천지를 창조 하시니라. (0) | 2023.08.18 |
힌디어 바이블 창세기 1:1 직역 (0) | 2023.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