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달신알라께서 자신이 만드신 모든 것을 보시니 참 좋았습니다.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여섯째 날이었습니다.
기독교의 하나님 알라(الله)의 사제 무함마드(바포메트)
무슬림(Muslim)은 유일한 달신(moon god) 알라(الله, Allāh)를 믿고, 그 말에 따르는 사람들을 말한다. 창조주 달신알라 이외에 그 어떤 존재도숭배하지 않는다.
이슬람교 신자들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종교 집단을 구성하고 있다. 2020년 추정 기준으로 약 20억 명의 추종자로 추산되는 무슬림은 세계 전체 인구의 약 25%를 차지한다.
이슬람의 개조 무함마드(مُحَمَّد)는 동굴에서 자다가 달신(moon god) 알라(الله, Allāh)로부터 파견된 날개가 600개 달린 대천사 지브릴(جبريل)이 전해준 계시에 의해 아내와 어린 조카에게 달신 알라의 말씀을 전한 것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영어식 표기로는 마호메트(Mahomet)가 전통적으로 사용되었는데, 이는 라틴어 표기인 마호메투스(Mahometus)에서 유래한 것이다.
Mahound and Mahoun(마하운드와 마훈),무함마드, 모하메드,마호메트(Mahomet)는 중세 이후 유럽 문학에서 자주 발견되는 무함마드(مُحَمَّد),마호메트 등 아랍어 여러 방언의 발음의 차이로 생긴 변형(Variation)이 악마바포메트다. 새 혹은 박쥐의 날개, 머리에는 초승달과 사탄 숭배의 아이콘 펜타그램, 뿔이 난 숫염소의 머리와 하반신은 인간 여성의 상반신과, 갈라진 굽이 있는 짐승의 발을 가진 악마의 모습으로 묘사된다.
▲교황 프란치스코, 한국 기독교 교회협의회의 사제 총회장; 암브로시오스 대주교가 귀신의 왕 바알세불 제우스 의 명령을 전달 하는 앙겔로스(사자) 헤르메스의지팡이를 들고 다닌다.
특별히 남성의 성기 모양을 한 귀신의 왕 바알세불 제우스의 사자(Άγγελος) 헤르메스의 지팡이와 여성의 가슴과, 남성의 성기를 가진 자웅동체로 염소머리를 하고 있다. 반남반녀, 반인반수 오시리스와 이시스의 합체를 상징하는 사타니즘과 기독교의 상징이다.
고대 가나안 일대에서 숭배받던 신(神 god, deity) 태양신바알(Baal)에 대한 유대인들의 멸칭은 '바알, 바알세불, 바포메트'로 지옥에 있는 마귀들의 두목으로 인식되었다. 지금도▶염소종교인 천주교, 한국 기독교 교회협의회, 정교회의사제(바알 사제: 죽은 영혼, 혼령, 유령을 저승으로 인도하는 안내자)들이 귀신의 왕바알세불(바포메트) 제우스 의 명령을 전달하는사자(使者 ἄγγελος)헤르메스의 지팡이를 들고 다닌다.
바포메트(Baphomet)는 성전 기사단(Knights Templar)이 숭배한 것으로 알려진 신으로, 이후 다양한 오컬트와 서구 밀교 전통에 통합되었다. 바포메트라는 이름은 1307년에 시작된 기사단 종교 재판 기록에 나타나있다. 기독교 신앙(보편교회 또는공교회)을 바탕으로 한 군사 기사단이다.
성전 기사단(Knights Templar)은 기독교 신앙의 군대이며 서구 기독교에서 가장 부유하고 인기 있는 군대 중 하나였다. 1119년경 예루살렘의 성전산에 본부를 두고 창설되어 중세 시대 약 2세기 동안 존재 하였다.
기독교와 무슬림의 하나님달신(moon god) 알라(الله, Allāh)
이슬람의 최상위 개념인 알라의 실체가 ‘달신(Moon god)’이었다는 것의 규명에 앞서, 중동에서 달의 위상이 어느 정도인지 파악하는 것이 매우 우선시 되어야 한다. 중동지역에서 달신은 태양신보다 월등한 존재다.
그 이유는 작열하는 사막의 고열, 특히 중동의 뜨거운 여름 태양빛에 모든 식물은 고사 직전에 이르게 된다. 반면, 달은 더위를 식혀주는 시원함과 어둠을 밝히는 구세주와 같은 존재다.
▲여신 알-라트(al-Lat)와 두 명의 여성 인물(여신 알-웃짜와 마나트)이 나란히 있는 모습을 묘사한 하트라의 2세기 부조
이에 달신은 최고의 신으로 '남신'이다. 태양신은 '여신'으로 숭배되었다. 메카 주변에는 약 360 개 부족들이 살고 있었는데 각각 섬기던 부족 신들이 있었다. 그중에서 마호메트가 속한 쿠라이시족(아랍어: قريش, Quraysh)은 이슬람교의 창시자이자 예언자인 무함마드의 출신 부족이 섬기던 신이 바로 ‘알라(Allah)’라고 부른 ‘달신(Moon god)’이었다. 달신‘알라(Allah)’의 딸들은
①알-라트(Al-Lat 전쟁, 평화, 전투, 번영의 여신), Al-Lat는 여신 아세라(אֲשֵׁרָה, Asherah)의 칭호로 사용되었다. 우가리트 신화에 등장하는 여신으로, '하늘의 여왕','바다의 여주인','모든 신들의 어머니','신들의 창조신','신들을 낳는 부모','만물의 어머니'로 불리운, 모성,생식력,풍요,달,다산,농경,나무의 여신이다.
②알-웃짜(al-'Uzzá 힘과 보호의 여신 ), ③마나트(Manat 운명, 행운, 시간, 죽음의 여신)이다.
초기 코란에는 "알라와 함께 세 딸신에게도 경배하라"고 되어 있었다. 후대에 유일신 사상과 배치된다는 이유로 세 딸의 아버지만 유일하게 남게 된다.
고고학자들은 신 '알라'는 고대부터 지금까지 존재의 본질은 변한 적이 없었다고 한다. "알라는 이슬람교가 탄생하기 이전에 존재한 신이었다. 바벨론의 벨(BEL)신 '바알'과 짝을 이루는 신(神)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종교 편> 특히 코란에는 '알라'를 지칭하는 99개의 이름이 있다.
▲수브하 (아랍어: سبحة ) 또는 미스바하 (아랍어: مسبحة ), 타스비흐 (Tasbih)는 이슬람교 에서 사용되는 기도를 돕는 도구이다.
이슬람 신자들은 '99개'로 된 '염주'를 항상 손에 들고 다니며 그 이름들을 하나하나씩 달달 외운다. 어떤 사람들은 99개 대신 33개로 된 '염주'를 염송(念誦)한다. 수브하(염주, 묵주)는 알라의 이름을 기억하며 계속해서 샤하다(아랍어: الشَهَادَة) 등을 말하는 "지크르 또는 디크르(Zikir/Dhikr)"르 의식 중에서 타스비흐(염원)를 할 때 사용한다.
샤하다(الشَهَادَة)는 이슬람교의 신앙 고백 구절로, "알라외에 다른 신은 없습니다. 무함마드는 그분의 사도입니다."라고 하는 일정 구절로 된 고백이다. 이들은 예를 들어 단식을 하거나 밤새워 기도를 드린다거나 알라의 이름을 반복해서 주문처럼 부르는 "지크르 또는 디크르(Zikir/Dhikr)"를 염송한다.
무함마드는 달신(Moon god) 숭배 사상이 매우 보편화된 문화권에서 태어났다. 그의 출생지 '쿠라이시'(Quraysh, 메카 지역에 위치한 부족)에서도 달신을 섬겼다. 이슬람 신자들이 성지 순례 시 카바 신전을 줄지어 도는 것, 라마단 달의 금식, 검은 돌에 입 맞추는 것, 마귀에게 돌을 던지는 일뿐만 아니라 메카를 향해 하루에 여러 번 기도하는 행위는, 모두가 달신을 섬기던 이슬람 이전의 풍속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 이슬람 학자들은 매우 금기시한다.